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231
문제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코드
const fs = require("fs");
const file_path =
process.platform === "linux" ? "dev/stdin" : `${__dirname}/input.txt`;
const input = fs.readFileSync(file_path).toString().trim();
/**
* @param {string} input
* @returns
*/
const solution = (input) => {
const num = Number(input);
let answer = 0;
for (let i = 0; i < num; i++) {
const add = i
.toString()
.split("")
.reduce((acc, cur) => {
acc += Number(cur);
return acc;
}, i);
if (add === num) {
answer = i;
break;
}
}
return answer;
};
console.log(solution(input));
해설
딱히 어려울건 없는 문제긴 한데, 생성자의 분해합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분해합은 2씩 증가하며, 10 단위마다 마지막 분해합의 -7이 다음 분해합의 시작이라는걸 알게 되었는데, 이걸 이용해서 코드를 더 효율적으로 짤 수도 있을것 같다.
위의 예에서 (분해합, 생성자) 이 순으로 보여주면 아래와 같다
(14, 7) => (16, 8) => (18, 9) => (11, 10) => (13, 11) => ... 이런식이다.
'코딩테스트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047. 동전 0 - Node.js (1) | 2024.10.07 |
---|---|
11650. 좌표 정렬하기 - Node.js (1) | 2024.09.28 |
30802. 웰컴 키트 - Node.js (0) | 2024.09.20 |
1978. 소수 찾기 - Node.js (0) | 2024.09.20 |
4153. 직각삼각형 - Node.js (0) | 2024.09.20 |